엘리스ai트랙

    Database, Data Modeling with project

    데이터 모델링이란? 효율적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db의 뼈대를 세우는 작업 -> 테이블 구성하는데 어떤 속성이 필요할까? -> 사업운영에 어떤 조건이 있을까? -> 속성 명은 어떻게 설정해야할까? -> 각 속성의 어떤 조건이 있을까? -> 해당조건을 어떻게 제약해야할까? -> 테이블은 몇개로 구성해야할까? -> 각 속성의 타입은 어떻게 될까? 필요한 조건, 내용을 수집, 정리각 운영 방침을 참고하여, 연관성있는 내용들은 묶어서 정리해보자! -> 각 정보들을 테이블로 표현, 생성 네이밍 규칙 유지보수와 의미의 명확성을 전달하기 위해 네이밍 규칙 설정 공통규칙 줄임말 사용은 최소화(단,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줄임말 사용) 테이블 네이밍 규칙 테이블 명, 파스칼 표기법 사용 kickboardRen..

    data structure

    # 자료구조란? - 자료를 저장하는 구조 - ADT 에서 자료 저장 방법과 연산방법을 자세히 구현 - 잘 사용한 다는 것은?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자료구조 사용해 효율적인 성능으로 구현 ## 추상적 자료형 (Abstract Data Type) 자료를 담는 방법과 자료에 대한 연산에 대한 정의가 담긴 것. 구현방법은 정의되어있지 않다. ## 리스트라는 ADT를 구현한 자료구조 ? - 배열 - 연결 리스트 - 서로 장점과 단점이 일치함.. # 해시테이블 - Key-Value Store를 구현하기 위해 생긴 개념 - 각각 data 고유한 key에 대응하도록 저장 ## 정의 - 배열에 value를 저장하고, 배열의 index를 key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자 - put : key value쌍 입력 -..

    클라우드에 대한 공부~

    앨리스 2기 트랙, azure를 통해 두 번째 팀 프로젝트 배포를 해보았다. 그리고 그 microsoft의 azure에 대한 관심이 생겨서 공부해보기로 했다. 그럼 우리가 사용한 azure는 platform as a service니까 paas인가? 먼저 클라우드란 무엇일까? 공유 구성이 가능한 resource(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application서비스)를 통합해 어디서나 간편하게 네트워크 요청에 따라 접근 가능하게 하는 것 그럼 클라우드를 실현하는 기술은? 1. 가상화 기술! 가상화란 서버같은 하드웨어 리소스(예 CPU, 메모리, 스토리지 )를 논리적으로 다룰 수 있게 만드는 매커니즘이다. 물리적인 하드웨어 리소스를 가상화 기술로 논리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가능해짐. (여기서 추상화라는 ..